4연임 시동 건 시진핑, 대일 강경책으로 '대만 통일' 의지 과시
일본 다카이치 사나에 총리가 대만 유사시 자위대 개입 가능성을 시사한 이후 중일 관계가 급속도로 냉각되는 가운데, 중국이 한국과 일본의 영토 분쟁에 이례적으로 개입하며 대일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다.마오닝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한국 외교부가 일본의 독도 주권 전시관 확장에 항의한 것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자, "일본의 많은 악성 언행이 주변 국가의 경계와 불만, 항의를 유발하고 있다"고 직격했다. 마오 대변인은 일본이 침략 역사를 심각하게 반성하고 평화의 길을 걸어 아시아 이웃 국가와 국제 사회의 신뢰를 얻어야 한다고 강력히 촉구했다.
이는 그동안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 분쟁에 대해서만 목소리를 높여왔던 중국이 독도 문제에 대해서는 말을 아껴왔던 관례를 깬 것이다. 비록 독도를 직접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일본의 '악성 언행'을 비판함으로써 우회적으로 한국 정부에 대한 지지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질문을 던진 주체가 중국 관영 매체라는 점에서, 중국 당국이 현재의 중일 갈등 국면에서 일본을 압박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사전에 질문과 답변을 준비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은 외교적 발언뿐 아니라 경제, 관광, 교육 등 주요 분야에서 일본에 대한 전방위적 압박을 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고강도 비판과 보복 조치가 시진핑 국가 주석의 장기 집권 전략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분석한다.
2027년 제21차 중국 공산당 대회에서 4연임을 목표로 하는 시 주석은 집권 초기부터 '대만 통일'을 핵심 과제로 강조해왔다. 일본에 대한 강경한 태도는 향후 미국과 대만을 둘러싼 갈등이 재개되더라도 절대 양보하지 않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주변국에 명확히 보여주기 위한 전략적 포석이라는 평가다.
대만 정계에서는 시진핑 주석의 4연임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보고 있다. 대만 대륙위원회(MAC)의 추추이정 주임위원은 시 주석이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이어지는 제15차 5개년 계획을 직접 실행할 계획인 점을 근거로 제시했다. 이처럼 시 주석의 권력 강화가 확실시되면서, 중국은 일본에 대한 압박을 대만 문제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는 도구로 활용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중일 관계의 긴장 국면은 상당 기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