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은 5개 국어, 놀이학교는 '안녕'? 사유리표 '자유 교육'이 불러온 뜻밖의 결과

논란의 시작은 지난 3월 유튜브 채널 'A급 장영란'에서 사유리가 언급했던 6세 아들 젠의 언어 교육 방식이었다. 젠은 한국어, 일본어, 영어, 중국어, 스페인어까지 5개 국어를 구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많은 이들의 놀라움을 자아냈다. 당시 사유리는 아들의 언어 능력 비결을 묻는 질문에 "절대 숙제를 시키지 않는다"는 파격적인 답변을 내놓았다. 그녀는 심지어 영어유치원에서 숙제를 내줘도 아들에게 "하지 말라"고 지시했으며, 급기야 선생님에게 직접 "숙제를 내주지 말라"는 내용의 편지까지 보냈다고 밝혀 충격을 안겼다.
사유리가 선생님께 보낸 편지에는 "우리 아들은 숙제를 절대로 안 한다. 저도 이 나이에 숙제하는 것 반대다. 저는 숙제 안 하는 아들을 매우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있으니 절대로 우리 아들한테 숙제를 보내지 말아달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그녀는 이러한 교육 방식의 이유로 "숙제가 언어에 대한 호기심을 꺾을까 걱정됐다"며, "영어가 싫어져 호기심이 떨어지면 안 하게 된다. 외국어에 잘 적응할 수 있다면 나중에 어디에서든 살아갈 수 있다"는 소신을 피력했다.

그러나 사유리의 교육법이 공개되자 누리꾼들 사이에서는 거센 비판이 쏟아졌다. "교육관은 이해하지만 이런 학부모는 차라리 유치원을 보내지 말고 홈스쿨링을 하는 게 맞을 것 같다", "숙제가 없는 유치원에 보내면 될 일", "공동체 규칙과 시스템을 내놓고 무시하라는 건가", "다른 아이들은 다 숙제를 하는데 한 아이만 안 해오는 상황이 더 이상하다" 등 공동체 생활의 중요성과 교육기관의 규칙 준수를 강조하는 의견들이 주를 이뤘다. 개인의 교육 철학을 존중하면서도, 그것이 집단 생활의 조화와 규율을 해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 것이다.
이러한 논란은 최근 사유리가 아들 젠이 놀이학교에서 열흘 만에 퇴학당했다고 고백하면서 더욱 증폭됐다. 그녀는 강남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아들 젠이 놀이학교에서 잘렸다. 너무 고집이 세서 선생님이 감당 못 하겠다고 하더라. 지금은 유치원 다니는데 선생님 전화 올까 봐 제일 무섭다"고 솔직하게 털어놓았다. 젠의 퇴학 사유가 '공동체 생활의 어려움'으로 지목되면서, 사유리의 자유분방한 교육 방식이 아이의 사회성 발달에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번 사유리 교육관 논란은 자녀 교육에 대한 사회 전반의 다양한 시각과 가치관이 충돌하는 지점을 명확히 보여준다. 아이의 개성과 자율성을 존중하는 교육과, 공동체 속에서 규칙을 배우고 타인과 어울리는 사회성 교육 사이의 균형점을 찾는 것은 모든 부모와 교육기관의 영원한 숙제이다. 사유리의 사례는 이러한 교육 철학적 딜레마를 다시금 수면 위로 끌어올리며,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깊이 고민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고 있다.